운석열 정부의 공약중 하나였던 1억통장이 리뉴얼되어 청년도약계좌로 이름을 바꾸어 출시되었습니다. 단순한 계산이긴 한데, 정책을 설계하면서 다소 복잡하게 만들어놨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계산기 같은게 있으면 정부기여금과 기준금액 지급비율에 따라서 얼마를 받게 될지를 알 수 있을텐데 아쉽습니다.
이번 6월 15일부터 가입을 받기 시작해서 5부제로 가입을 받습니다. 정부에서는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형성을 위해서 만든 상품이라고 이미 3월달부터 군불을 떼놨기 때문에 가입자들이 아주 많이 몰렸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시 5년 후 얼마를 받을 수 있을지 계산해보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해 아래의 계산기를 준비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조건은 맞추셔야 하고, 연봉과 월 납입할 금액을 넣으면 자동으로 5년후 얼마를 받게 되는지 알려줍니다.
**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됩니다.
청년도약계좌 계산기
연봉과 월적립금을 입력하세요. 은행금리는 최대인 6%를 기준 5년(60개월) 납입했다고 계산되며, 정부기여금은 연봉에 따라 3.0% ~ 6.0%까지 차등 적용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조건
- 나이 : 만 19세 ~ 34세 청년
- 소득 : 총급여액 7,500만원 이하 or 종합소득액 6,300만원 이하
-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1인가구 374만원, 4인가구 972만원)
- 납입한도 : 최대 월 70만원
- 정부기여금 : 소득별로 최대 6% 추가 예정
소득의 구간은 총 4개로 나눕니다. 2,400만원 이하부터 6,000만원 초과입니다. 은행에서 가입하고 납입하면 정부는 납입한 금액에 대해서 소득을 보고 기여금을 줍니다. 당연히 소득이 많을수록 기여금 지급을 적게 해줍니다.
정부기여금 지급비율
소득 구간별 기여금 지급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2,400만원부터 6,000만원까지 기여금이 지급되며 6,000만원 넘어가면 기여금은 없고 6% 고금리 예금이라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연봉 | 납입액 | 인정비율 | 정부기여금 |
---|---|---|---|
2,400만원 이하 | 최대 40만원 | 6.0% | 2.4만원 |
3,600만원 이하 | 최대 50만원 | 4.6% | 2.3만원 |
4,800만원 이하 | 최대 60만원 | 3.7% | 2.2만원 |
6,000만원 이하 | 최대 70만원 | 3.0% | 2.1만원 |
6,000만원 초과 | 기여금 없음 |
가구소득별 기준중위소득 180%
연봉 | 납입액 | 인정비율 | 정부기여금 |
---|---|---|---|
2,400만원 이하 | 최대 40만원 | 6.0% | 2.4만원 |
3,600만원 이하 | 최대 50만원 | 4.6% | 2.3만원 |
4,800만원 이하 | 최대 60만원 | 3.7% | 2.2만원 |
6,000만원 이하 | 최대 70만원 | 3.0% | 2.1만원 |
6,000만원 초과 | 기여금 없음 |